이 웹사이트는 대한민국의 보건의료전문가만을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Menu
Close
Menu
Close
이상반응 프로파일
약물상호작용
주요 안전성 정보
임부, 수유부에서의 사용
특별 경고 및 사용상 주의사항
이상반응 프로파일
지스로맥스는 내약성이 양호하였으며 이상반응 발생률이 낮았습니다.1
아래 표에는 임상시험 및 시판 후 조사를 통해 확인된 이상반응이 기관계 대분류 및 빈도별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시판 후 조사에서 확인된 이상반응은 기울임체로 표기했습니다.
[아지트로마이신과 관련 가능성이 있거나 (Possible), 관련 가능성이 상당히 확실한 (Probable) 이상반응]6
*임상 실험 및 시판 후 조사에 근거하여, 이상 반응은 각 빈도 그룹별로 중대성이 높은 순서로 표기하였습니다.
adapted from Zithromax® SmPc
* 시판 후 이상반응
** "3의 법칙"을 사용하여 계산된 95% 신뢰 구간의 추정 상한으로 표시되는 이상반응 빈도입니다.
투여 중단을 유발한 이상반응
성인 및 소아2 :
상부호흡기 감염 치료를 위해 일반적으로 보다 장기적인 투여가 필요한 다른 항생제 요법과 아지트로마이신 3~5일 투여 요법을 비교해 검토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 45건에 대한 메타 분석 :
6개월~16세 소아3 :
상부호흡기 및 하부호흡기 감염, 피부 및 연조직 감염, 트라코마의 치료에서 6개월~ 16세 소아를 대상으로 한 아지트로마이신 비교 임상시험 43건의 통합 데이터 :
약물상호작용
다른 의약품과의 상호작용 및 다른 형태의 상호작용1
제산제: 아지트로마이신과 제산제를 통시에 투여하는 경우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약동학 시험에서, 전반적인 생체이용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최고 혈청 농도는 약 24%정도 감소하였습니다. 아지트로마이신과 제산제를 함께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 두 약물을 동시에 복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세티리진: 건강한 지원자에게 아지트로마이신을 5일 용법으로 투여하면서 세티리진 20mg을 병용한 경우, 항정상태에서 약동학적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QT 간격에 있어서도 어떠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디다노신(디데옥시이노신): HIV양성반응을 보인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아지트로마이신 1,200mg/day을 디다노신 400mg/day 과 병용투여한 경우, 위약과 비교했을 때 디다노신의 약동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였습니다.
디곡신과 콜키신: 아지트로마이신을 포함한 마크로라이드계 항생물질을 디곡신 및 콜키신과 같은 P-glycoprotein 기질과 병용 투여 할 경우 P-glycoprotein 기질의 혈청농도 증가가 보고되었습니다. 따라서 아지트로마이신과 디곡신과 같은 Pgp 기질을 병용투여 할 경우 디곡신의 혈청농도가 상승할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아지트로마이신과 병용 중, 그리고 병용 중단 이후에는 디곡신 혈청농도 수준과 임성적 모니터링이 요구됩니다.
지도부딘: 아지트로마이신 1,000mg 을 단회 투여하거나 1,200mg 혹은 600mg 을 반복 투여한 경우, 지도부딘이나 글루쿠로니드 대사체의 혈장내 약동학과 요배설에 대해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말초부위의 혈액내 단핵세포에서 임상적으로 활성 대사체인 인산 지도부딘의 농도가 아지트로마이신의 투여로 인해 증가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가 가지는 임상적 의미는 명확하지 않지만 환자에게 유익할 수도 있습니다.
간 시토크롬 P450 시스템: 아지트로마이신은 간의 사이토크롬 P450 효소계와 유의한 정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에리스로마이신과 다른 마크로라이드계 약물에서 관찰되는 것과 같은 약동학적 약물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습니다. 사이토크롬-대사체 복합체를 통한 간의 사이토크롬 P450 효소계의 유도 혹은 비활성화는 아지트로마이신과 관련하여 나타나지 않습니다.
에르고트: 이론적으로 아지트로마이신과 에르고트 유도체 사이에 상호작용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아지트로마이신과 에르고트 유도체의 동시 사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사이토크롬 P450 에 의해 상당한 수준의 대사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다음의 약물들과 아지트로마이신 사이에 약동학 시험을 시행하였습니다.
아토르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10mg/day)과 아지트로마이신 (500mg/day)의 병용은 아토르바스타틴의 혈장 농도를 변화시키지 않습니다 (HMG CoA-reductase inhibition assay 결과에 근거). 그러나 아지트로마이신을 스타틴계와 같이 투여 받은 환자에서 횡문근융해와 같은 시판 후 사례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카르바마제핀: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한 약동학 시험 결과, 카르바마제핀과 아지트로마이신을 병용하고 있는 환자에서 카르바마제핀이나 그의 활성 대사물의 혈장농도가 어떤 유의한 영향도 받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
시메티딘: 아지트로마이신의 투여 2시간 전에 시메티딘 1회 용량을 투여하는 것이 아지트로마이신의 약동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약동학 시험에서, 아지트로마이신의 약동학에 있어서 어떠한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쿠마린형 경구 항응고제: 약동학적 약물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시험에서, 건강한 자원자에 와파린 15mg 을 1회 투여했을 때 아지트로마이신은 와파린의 항응고 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시판 후 기간동안 아지트로마이신과 쿠마린계열의 경구용 항응고제를 병용투여하고 난 후 항응고 작용이 상승되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이에 대한 인과관계는 입증되지 않았으나, 쿠마린 계열의 경구용 항응고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게 아지트로마이신을 투여할 경우 프로트롬빈 시간을 모니터링하는 빈도에 대해 고려해야 합니다.
시클로스포린: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한 약동학 시험에서 아지트로마이신 500mg/day 를 경구로 3일간 투여한 후 시클로스포린 10mg/kg 을 단회투여한 결과, 시클로스포린 Cmax 와 AUC0-5 가 유의하게 상승한 것이 관찰되었습니다 (각각 24% 및 21%). 하지만 AUC0–∞에서 유의한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들 약물의 병용투여를 고려하기 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들 약물간의 병용투여가 필요하다면, 시클로스포린의 농도를 모니터링하여 그에 따라 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에파비렌즈: 아지트로마이신 600mg 단회투여와 병용하여 에파비렌즈 400mg/day 을 7일간 투여한 결과, 임상적으로 유의한 어떠한 약동학적 상호작용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플루코나졸: 플루코나졸 800 mg 단회투여와 병용하여 아지트로마이신 1,200 mg 을 단회투여하였을 때, 플루코나졸의 약동학에 변화가 없었습니다. 아지트로마이신의 총 약물노출도와 반감기는 플루코나졸과의 병용투여로 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Cmax 에 있어서는 임상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정도의 감소가 관찰되었습니다.
인디나비르: 인디나비르 800 mg 을 1 일 3 회씩 5 일간 투여하면서 아지트로마이신 1,200 mg 단회투여를 병용한 경우, 인디나비르의 약동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메칠프레드니솔론: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한 약동학 시험 결과 아지트로마이신은 메칠프레드니솔론의 약동학에 어떤 유의한 영향은 주지 않았습니다.
미다졸람: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1일 아지트로마이신 500mg씩 3일간 투여한 것은 미다졸람 15mg 단회투여의 약동학과 약력학에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넬피나비르: 아지트로마이신(1,200mg)과 항정 상태의 넬피나비르(750mg 1일 3회 투여)의 병용 투여는 아지트로마이신 농도를 증가시켰습니다. 임상적으로 유의한 이상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용량 조절도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리파부틴: 아지트로마이신과 리파부틴의 병용은 두 약 모두의 혈장 농도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두 약을 병용투여한 환자에게서 호중구 감소가 관찰되었습니다. 호중구 감소는 리파부틴의 투여와 관련성이 있으나, 아지트로마이신의 병용과의 인과관계는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실데나필: 건강한 정상 남성 자원자에서, 아지트로마이신 (500mg/day 을 3 일간 투여)이 실데나필이나 실데나필의 주요 대사체의 AUC 와 Cmax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없었습니다.
테르페나딘: 약동학 시험을 통해 보고된 아지트로마이신과 테르페나딘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증거는 없습니다. 그러한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사례가 드물게 보고된 적이 있으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는 구체적인 증거는 없었습니다.
테오필린: 건강한 자원자에 아지트로마이신과 테오필린을 병용투여했을 때 임상적으로 유의한 약동학적 상호작용이 나타난 증거는 없습니다.
트리아졸람: 14명의 건강한 자원자들에게 아지트로마이신 500mg 을 첫째 날 투여하고 그 다음날 아지트로마이신 250mg 과 트리아졸람 0.125mg 을 함께 병용투여 했을 때, 위약과 트리아졸람을 병용투여한 경우와 비교한 결과 트리아졸람의 약동학적 변수 중 어떤 것에 대해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DS (Double Strength, 160mg/800mg)를 7일간 투여하면서 아지트로마이신 1,200mg 을 약물투여 7일째에 병용투여하였을 때, 트리메토프림이나 설파메톡사졸의 최고 혈중농도, 총 약물노출도 혹은 요배설에 대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아지트로마이신의 혈청 농도는 다른 시험에서 관찰된 결과와 유사하였습니다.
QT 간격 연장: 아지트로마이신을 포함한 마크로라이드계 약물을 투여한 경우, 심부정맥과 Torsades de pointes 의 위험성을 높이는 심장의 재분극과 QT 간격의 연장이 관찰되었습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게 처방할 때에는, 아지트로마이신의 위험성 및 유익성 평가 시에, 치명적일 수 있는 QT 연장의 위험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주요 안전성 정보
금기1
특별 경고 및 사용상 주의 사항
항균제의 적절한 사용에 대한 공식 가이드라인을 참조해야 합니다.1
이상반응
과민반응1
간독성1
QT 연장1
중복감염1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에 의한 설사1
신장애1
당뇨
임부, 수유부에서의 사용
임부1
수유부1
Tab Number 4
Tab Number 5
지스로맥스®정 제품설명서 (개정년월일: 2023.03.29)
Ioannidis J, et al.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the comparative efficacy and safety of azithromycin against other antibiotics for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J Antimicrob Chemother. 2001;48:677–89.
Langtry HD, et al. Azithromycin. A review of its use in paediatric infectious diseases. Drugs. 1998;56(2):273–97.
US PI: ZITHROMAX (azithromycin) 250 mg and 500 mg Tablets and Oral Suspension. Available at: https://www.accessdata.fda.gov/drugsatfda_docs/label/2017/050710s44-050711s41-050784s28lbl.pdf. Accessed June 2023.
지스로맥스® 건조시럽 제품설명서 (개정년월일: 2023.05.31)
Zithromax® 250mg Capsules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Updated 23 Aug 2023. Available at: https://www.medicines.org.uk/emc/product/1073/smpc#gref (accessed on 06 Nov. 2023)
본 웹사이트에 제공되는 정보는 대한민국의 보건의료전문가만을 위한 것입니다.
보건의료전문가가 아니시라면, 한국 화이자제약 회사 홈페이지(http://www.pfizer.co.kr)를 방문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Copyright © 2022 Pfizer Limited. All rights reserved.
PP-UNP-KOR-0079, 06Feb2025
본 웹사이트의 의학정보는 오직 보건의료전문가의 사용을 목적으로 제공됩니다.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제품 관련 정보는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사항에 기반하여 보건의료전문가에게 의약학적 정보를 전달하고 한국 화이자제약(이하 “회사")의 의약품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하였습니다.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지속적으로 제품 및 의학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자료가 의학적 권고사항은 아닙니다. 환자 치료는 보건의료전문가의 면허 범위, 전문적 경험 및 전문적 지식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그에 따르는 책임 또한 건강 관련 전문직 종사자에게 있습니다.
회사는 식약처로부터 허가받지 않은 방법으로 의약품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본 웹사이트를 본래의 제작 목적 이외의 용도로 활용하는 경우 약사법, 저작권법 및 기타 관계법령 상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정해진 목적 범위 내에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